SEOUL MIND BRIDGE
SEOUL MIND BRIDGE
증상 및 심리 관련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심리학 고찰 시리즈] 4.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2)
(4) 자연적 관찰
심리현상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그 현상을 관찰하면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의 사용이 피험자(응답자)의 분위기를 깨거나 오도하는 경우에는
특히 자연적 관찰(naturalistic observation)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동물을 실험실에서 관찰하였다면
자연환경에서의 단서(cue)가 어떻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볼 수 없을 것이다.
동물행동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인 로렌츠(Konrad Lorenz)는
유전된, 그러나 환경에 의해서 도출되는 동물행동의 본질을 발견하였다.
가장 재미있는 연구 중 하나는 새끼거위들이 어미를 따르는 것이었는데,
어미의 몸놀림과 울음소리가 자연적으로 소리를 내면
새끼거위에 똑같이 ‘나를 따르라.’는 신호가 될 것으로 보고
갓 태어난 새끼거위 앞에 어미가 없을 때 웅크리고 앉아서 어미거위의 소리를 내었다.
얼마 안 있어 새끼거위는 로렌츠가 가는 곳은 어디든지 따라다니게 되었다.
이는 로렌츠의 자연적 관찰이 가져온 성공적 연구다.
사람들을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신중하게 관찰함으로써,
심리학자들은 성격 차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유형을 나타내는 행동을 밝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인기 있는 아이와 인기 없는 아이의 차이를 관찰을 통해 밝혀낼 수 있다.
즉, 노는 시간에 인기 있는 아이는 활동의 흐름에 유연하게 조화가 되는 경향이 있었고,
인기 없는 아이는 이미 놀고 있는 아이의 집단 분위기를 깨뜨리면서 합류하고자 하였다(Gottman, 1987).
(5) 실험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에서 인과관계에 관한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 가장 선호되는 연구방법이 실험이다.
실험(experiments)에서 참여자(또는 피험자)들은 처치(treatment)를 받고,
그 처치가 과연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지 조심스럽게 관찰된다.
우리는 알코올이 어떤 사건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므로 공격성을 유발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특정량의 알코올을 마실 경우 공격성이 증가될 것이라는 가설을 만든다.
실험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는 다음과 같다.
⦿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알코올이 공격성을 유발하는지 아닌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피험자는 일정량의 알코올을 제공받을 것이고,
그 효과가 측정될 것이다.
여기서 알코올이 독립변수가 된다.
독립변수는 실험자에 의해서 조작되고, 그 효과가 어떤지 알 수 있게 된다.
알코올이라는 독립변수는 여러 수준에서 실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혀 없음, 아주 조금, 많이, 만취할 정도 등으로 조작될 수 있다.
⦿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실험에서 측정된 결과는 종속변수라고 한다.
종속변수의 존재는 독립변수에 따른다.
앞서 말한 알코올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공격적 행동은 종속변수가 된다.
⦿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
실험집단에서의 피험자들은 어떠한 처치를 받게 되는데
예를 들면 알코올이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에서 실험집단은 알코올을 제공받을 것이다.
⦿ 통제집단(control group)
통제집단에서의 피험자들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는다.
각 집단은 처치를 제외한 모든 여 타의 조건에 있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해야만 두 집단 간 종속변수 측정치의 차이가 단지 처치 때문이라고 할 수가 있다.
앞에서 제시한 방법들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모든 연구방법론을 크게 구분하면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으로 볼 수 있다.
표본조사와 실험을 대표적인 양적 방법으로, 사례연구와 자연적 관찰을 질적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출처:한성용 외,「현대 심리학의 이해」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