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고찰 시리즈] 4.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2)(4) 자연적 관찰심리현상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그 현상을 관찰하면서 연구하는 방법이다.다른 방법의 사용이 피험자(응답자)의 분위기를 깨거나 오도하는 경우에는 특히 자연적 관찰(naturalistic observation)이 제일 좋은...
[심리학 고찰 시리즈] 3.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1) 심리학은 일종의 경험과학이므로 많은 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증거가 있어야 한다.목소리나 글의 억양을 높인다든가, 권위자의 이름만을 빌린다든가 하는 것만으로는 과학적 증거가 되지 않는다.과학적 증거는 과...
[심리학 고찰 시리즈] 1. 심리학이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심리학에 대해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심리학을 제대로 알고 있지는 못하다.심리학을 정신분석학으로만 이해하거나 심리학을 공부하면 마치 최면술, 독심술, 심령술 같은 분야를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nb...
[독서 교육 시리즈] 3. 독서 전략을 지도하라 1. 독해 전략(SQ3R)을 활용한다1) 훑어보기(Survey)글을 읽기 전에 제목이나 소제목, 서문, 차례, 삽화, 처음과 끝 부분 등 글 전체를 훑어보고 책의 내용을 대강 짐작해 보는 단계를 말한다.2) 질문하기(Question)훑어보기와 동시...
[독서 교육 시리즈] 2. 독서의 시작, 흥미를 갖게 하라 1. 책에 흥미를 갖게 한다.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를 전독서기라고도 한다.글을 읽기 이전 단계로 주로 음성 언어를 사용하는 시기이며,독서에 필요한 심리적 · 생리적 요인이 발달하는 시기이다.이 단계는 독서에 필요한 기...
[독서 교육 시리즈] 1. 왜 독서 교육을 해야 하는가 1. 독서 교육이란 무엇인가단지 책을 읽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방법은 물론이고 책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독서 교육이다.책을 읽는 것은 글자만 깨우치면 누구나 할 ...
[양극성 장애 시리즈] 5. 양극성 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 (2)5. 우울증 삽화의 인지행동치료인지행동치료는 우울증에 대한 벡의 인지 이론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인지행동치료의 기본 원리는개인이 호소하는 우울 증상을 좌우하는 자동적 사고를 찾아내고이를 현실에 비추어 평가...
[양극성 장애 시리즈] 4. 양극성 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 (1)1. 통합적 인지행동치료 1) 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및 유의사항 ①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치료의 중요성양극성 장애에 대한 치료법은 약물치료를 받음으로써 생물학적 취약성에 기인하는 양극성 장애의 증상...